-
대한민국 유튜브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문화 2022. 7. 11. 20:27반응형
2022 . 07. 02
빠르게 소비되고 사라지는 정보의 시대
존 버거 - 사진의 이해 글보다는 사진, 사진보다는 영상이 지배적인 시대다.
영상도 그 종류가 다양하다. 현대에 가장 인기있고 많이 소비되는 종류의 영상은 모두 빠르게 정보를 습득하고 고민 없이 넘길 수 있는 형식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인스턴트식 영양가 없는 영상을 대표적으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플랫폼은 유튜브다. 매일같이 수천수만 개의 영상이 업로드되는 유튜브는 현대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상 플랫폼이다. 유튜브에도 물론 유용하고 좋은 정보를 가진 영상이 많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저가 원하는 영상은 유익하고 정확한 정보가 담긴 영상이 아니다. 자극적인 영상과 자막, 내용이 있는 영상을 찾아 많은 시간을 유튜브에 투자하고 이를 즐긴다.
그로인한 부작용은 다양하다.
선동적이고 자극적인 영상은 큰 인기를 모으고 많은 시청자가 내용의 진위여부를 의심 없이 받아들인다. 선동적인 영상은 특정한 집단을 옹호한다. 문제는 추구하는 가치관과 반대되는 입장을 공격적인 태도로 바라보는 데 있다. 이들에게 옳은 의견은 중요하지 않다. 그저 자신의 의견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하고 반대되는 의견을 묵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는 성별에 따른 갈등이다. 남자와 여자, 성별에 따른 자연스러운 신체적, 문화적 차이로 갈등을 조장한다. 최근에는 성별 갈등이 더욱 심화되어 정치권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처럼 의미 있는 연구나 객관적인 평가 없이 전파되는 유튜브의 잘못된 영상이 사회에도 악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고 있다.
거실에서 바라본 창 밖의 모습 - 김포 한강신도시 인간은 소속감을 중요시 한다. 어딘가에 소속되고 싶어 하는 심리는 당연하다. 그러나 최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새로운 차원의 소속 경쟁, 편 가르기 형태는 전혀 옳은 방향이 아니다. 물론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모든 사회현상을 유튜브 시청 탓으로 돌리는 건 어렵다. 그러나 분명 큰 영향을 주었음에 틀림없다.
유튜브는 누구나 주관적인 생각을 객관적인 논리인양 포장할 수 있는 플랫폼이기에 정보를 필터링해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곧이 곧대로 유튜브에서 터득한 정보를 신뢰하고 믿는다면 왜곡된 생각과 시선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정보가 넘쳐나는 세상. 정보 필터링 시간이 흐름에따라 정보 필터링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매일 너무 많은 정보가 쏟아져 나오며 필요한 정확한 정보를 찾아내기는 더욱 어려워진다.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진 인터넷 속 전문가들이 본인이 맞다며 다툰다. 누구의 말을 믿어야 하는가. 어떤 정보가 맞는 정보인가.
현명한 사람들은 책에서 답을 찾는다. 한 분야의 전문가들로부터 의견을 듣는다. 오랜 공부와 연구를 통해 습득한 귀한 정보는 여전히 인터넷이 아닌 책에서 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반응형